인간과 심리16 대표적인 사고의 오류 10가지 일상에서 흔히 발생하는 사고의 오류들은 우리의 생각이나 의사결정을 왜곡시켜 잘못된 결론을 내리게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오류는 인간의 인지적 한계와 심리적 특성에 기인합니다. 뇌는 효율적으로 작동하려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러한 효율성이 오히려 왜곡된 사고로 이어지는 것입니다. 대표적인 사고의 오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피장파장의 오류- 자기 잘못을 정당화하기 위해 상대방의 잘못을 지적하는 오류입니다.- 예: A: “너 오늘 왜 약속 시간에 늦었어?”, B: “너도 지난번에 늦게 왔잖아”- 문제점: 상대방의 잘못이 자기 잘못을 정당화하지 못함에도 불구하고 논점을 흐리게 만듭니다. 2. 후광효과 (Halo Effect)- 한 가지 긍정적 또는 부정적인 특징 때문에 다른 모든 특징까지 비슷하게 평가.. 2025. 1. 15. MBTI 성격유형 16가지 MBTI는 마이어스-브릭스 유형 지표(Myers-Briggs Type Indicator)의 약자로, 사람의 성격을 16가지 유형으로 분류합니다. 칼 구스타프 융의 성격 유형 이론에 기반을 두고 더 구체적이고 실용적으로 만들어졌습니다. 각 유형은 다음 네 가지 선호 지표를 조합하여 만들어집니다.에너지 방향- E (외향): 외부 세계와의 상호작용에서 에너지를 얻습니다.- I (내향): 내면에서 에너지를 얻고, 깊은 생각을 선호합니다. 정보 수집 방식- S (감각):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정보를 선호합니다.- N (직관): 미래지향적이고 추상적인 정보를 선호합니다. 의사결정 방식- T (사고): 논리적이고 객관적으로 의사를 결정합니다.- F (감정): 감정과 인간관계를 고려하여 결정합니다. 생활 방식- J (판.. 2025. 1. 10. 흥미로운 심리학 이론 12가지 흥미로운 심리학 이론 12가지를 정리해보았습니다. 1. 피그말리온 효과 (Pygmalion Effect)타인의 기대가 개인의 성과나 행동에 실제로 영향을 미친다는 이론입니다. 예를 들어, 선생님이 특정 학생이 잘할 것이라고 기대하면, 그 학생의 실제 성과가 향상될 가능성이 커집니다. 그리스 신화의 피그말리온이라는 조각가가 자기 작품(갈라테이아)을 사랑한 이야기에서 유래했습니다. 2. 고슴도치 딜레마 (Hedgehog’s Dilemma)- 인간관계의 친밀성과 거리감을 설명하는 이론입니다. 고슴도치들이 서로의 체온을 나누기 위해 가까이 다가가지만, 너무 가까우면 가시에 찔리게 됩니다. 인간관계에서 외로움을 달래기 위해 지나치게 가까워지면 오히려 상처받고, 그렇다고 너무 멀어지면 또 외로움을 느끼는 심리적 .. 2025. 1. 9. 메타인지와 성공의 열쇠 메타인지란 무엇인가?메타인지는 한마디로 “내가 뭘 알고 뭘 모르는지 아는 능력”입니다. 쉽게 말하면, 스스로를 관찰하고 “아, 이건 내가 잘하네” 혹은 “이건 내가 잘 모르네”라고 판단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시험공부를 할 때, “여긴 내가 약하니까 더 공부해야겠어”라고 판단하면 메타인지가 제대로 작동하고 있는 것입니다. 메타인지가 부족하면 생기는 문제- 메타인지가 부족하면 내 실력을 과대평가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실수하거나 성과가 낮아질 수 있습니다. 잘못된 선택을 반복할 수 있고 이런 경우, 성장하지 못하고 남들보다 뒤처질 가능성이 큽니다. 중요한 과정을 비효율적이라고 생각하거나 시간 낭비라고 생각하여 이미 잘하고 있는 부분을 반복하고 약점을 그대로 방치하게 됩니다. 메타인지가 과하면 생기는 문제- .. 2025. 1. 4. ADHD의 특징과 추천 직업 ADHD(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는 쉽게 말해 집중력이 약하거나 너무 산만한 상태가 지속되는 것을 말합니다. 보통 어린 시절부터 시작되는데, 성인이 돼도 증상이 남아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ADHD의 특징 ADHD를 가진 사람은 뭔가를 할 때 쉽게 딴생각이 나거나 주의가 산만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수업을 듣거나 업무를 할 때 금방 지루해지기 때문에 중요한 디테일을 놓치는 일이 많습니다. 또 생각보다 행동이 먼저 나오는 경우가 많고 말을 끊거나, 줄을 기다리지 못하거나, 참을성이 부족한 경우도 있습니다. 즉흥적으로 뭔가를 해버리는 것도 여기 해당합니다. 가만히 있지 못하고 손발을 움직이거나, 자꾸 자리를 뜨고 싶어 하기도 합니다. 이는 특히 어린이들에게서 많이 나타나는 특징인데, 성인이.. 2025. 1. 3. 미니멀리스트와 맥시멀리스트 미니멀리스트와 맥시멀리스트를 심리학적으로 접근하면, 각자 왜 그런 스타일을 좋아하는지 각각의 성격이나 마음 상태랑 연결해서 이해할 수 있습니다. 미니멀리스트 미니멀리스트의 마음에서 깔끔한 공간은 깔끔한 마음과 같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미니멀리스트는 보통 복잡한 환경이 주는 스트레스를 싫어하고 물건이 많으면 머리가 복잡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가득 찬 물건은 미니멀리스트에게 정리해야 한다는 압박감이 생기게 합니다. 그래서 최대한 단순하고 정리된 공간에서 마음의 평온을 찾으려고 하는 것입니다. 미니멀리스트는 “내 삶을 내가 완벽히 통제하고 있어”라는 느낌을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물건이 많으면 관리도 힘들고 정신없는 데 필요한 것만 딱 있으면 심리적으로 안정감을 느끼게 되고 미니멀리스트의 쾌적한 삶.. 2025. 1. 3.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