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 정보

눈동자 색의 비밀: 눈동자 색이 바뀌는 이유? 유전, 색소, 시술

by 글쓰는 창고지기 2025. 4. 3.
반응형

눈동자 색은 타고나는 것이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유전·색소·외상·약물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화하거나 다르게 보일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SNS에서 ‘눈 색 바꿔주는 안약’이 유행하며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받고 있는데요, 이 글에서는 눈동자 색의 과학적 원리부터 세계 희귀 사례, 실제 시술법과 SNS 속 위험한 트렌드까지 자세히 정리해드립니다.

📌 목차


다양한 눈동자 색을 가진 사람들

1. 눈동자 색은 어떻게 결정되나?

눈동자의 색은 홍채(Iris)에 존재하는 색소, 멜라닌(Melanin)의 농도와 분포에 따라 결정됩니다.

 

- 멜라닌이 많을수록: 짙은 갈색 또는 검정에 가까움

- 멜라닌이 적을수록: 파란색, 회색, 초록색 등 밝은 색으로 보임

 

이 멜라닌의 양은 다음과 같은 유전자의 조합으로 결정됩니다.

 

- OCA2, HERC2: 멜라닌 생성과 발현 조절

- SLC24A4, TYR, SLC45A2: 멜라닌 합성 경로 조절

대표적으로 HERC2 유전자의 변이(rs12913832)는 OCA2의 발현을 억제해 파란 눈을 만드는 주요 유전적 요인입니다.


2. 세계적으로 드문 눈동자 색

대부분의 사람은 갈색이나 파란색 눈을 가지지만, 다음과 같은 희귀한 눈 색도 존재합니다.

 

- 호박색(Amber): 멜라닌은 적고 리포크롬(lipochrome) 색소가 많아 노란빛이 강함

- 보라색(Violet): 멜라닌 거의 없음 + 혈관의 붉은 색이 섞여 나타남

- 적안(Red): 알비노(백색증) 환자에게 나타나는 색. 색소가 전무하여 혈관색이 드러남

- 이색증(Heterochromia): 양쪽 눈 색이 다른 경우. 유전, 외상, 약물 등으로 발생


3. 눈동자 색이 바뀌는 경우

눈 색은 대부분 고정되어 있지만, 예외적으로 다음과 같은 변화가 보고되었습니다.

 

- 낙뢰 사고: 미국의 한 남성은 파란 눈을 가졌으나, 낙뢰에 맞은 후 눈이 갈색으로 바뀐 사례가 있습니다. 이는 홍채 조직 손상 또는 멜라닌 세포 변화로 인한 것이라 추정됩니다.

 

- 안약 부작용: 녹내장 치료제인 라타노프로스트(Latanoprost), 트라보프로스트(Travoprost) 등은 장기 사용 시 멜라닌이 증가해 밝은 눈이 점차 갈색으로 변할 수 있습니다.

데이비드 보위의 눈은 왜 달라 보였을까?

혁신적인 음악과 독특한 패션으로 유명한 영국의 싱어송라이터이자 배우인 데이비드 보위(David Bowie)는 두 눈의 색이 달라 보이는 외모로 유명했지만, 실제로는 이색증이 아닌 외상성 동공산대(Traumatic Anisocoria) 때문이었습니다.

청소년기에 눈을 다치면서 한쪽 홍채의 근육이 마비되었고

이에 따라 한쪽 동공이 항상 확장된 상태로 남아

빛의 반사 차이로 인해 마치 눈 색이 다른 것처럼 보인 착시 현상이 발생한 것입니다.

실제로는 양쪽 홍채 색이 같았습니다.


4.  한국인 중 파란 눈을 가진 사람도 있을까?

한국인 대부분은 멜라닌 농도가 높은 갈색 눈을 가졌지만, 극히 드물게 유전적 변이로 파란 눈이 나타나는 사례도 있습니다.

- HERC2, OCA2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우연히 양쪽 부모에게서 유전될 경우

- 백색증의 경증 형태에서 파란 눈이 나타나는 경우

- 최근 유전자 연구에서 한국·일본 일부 인구에서 푸른 눈 유전형(SNP)이 소수 확인됨

 

이는 서양인의 파란 눈과 동일한 생물학적 원리이나, 홍채 기질 구조 차이로 인해 색조가 다르게 보일 수 있습니다.


5. 눈동자 색을 바꾸는 시술과 약물

1. 레이저 시술 (Stroma Procedure)

기전: 멜라닌을 파괴하여 눈 색을 밝게 만듦 (갈색 → 파란색)

문제점: 시술 결과가 수개월 후에 나타나며, 시력 저하 및 빛 번짐, 녹내장 위험 존재

미승인 상태: FDA 및 국내 비승인, 안전성 논란 있음

2. 색소 삽입술 (Artificial Iris Implant)

기전: 인공 홍채를 눈에 삽입하여 색을 바꿈

목적: 원래는 외상 환자용이지만 일부 국가에서 미용 목적으로 시술됨

위험성: 시력 손상, 각막염, 녹내장 등 심각한 합병증 보고됨

3. 녹내장 치료제 안약의 색 변화 부작용

라타노프로스트, 비마토프로스트 등: 멜라닌 농도 증가로 눈 색이 갈색으로 변할 수 있음

승인된 용도는 ‘안압 조절’이며, 눈 색 변경 목적 사용은 권장되지 않음

 

‘눈 색 바꾸는 안약’, 정말 효과 있을까?

최근 SNS에서는 눈에 넣으면 파란색·초록색·보라색으로 바뀐다는 "눈동자 색 변경 안약"이 유행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 효과 없음 + 위험 가능성

의학적으로 승인된 눈 색 변경 안약은 존재하지 않음

눈 색 변화는 영상 필터, 렌즈 착용, 조명 효과로 연출된 것일 가능성 큼

일부 제품은 정체불명의 용액으로, 염증·각막 손상·실명 위험이 존재

"눈에 넣고 5일 뒤 눈이 파래졌어요"는 전형적인 허위 후기 마케팅

 

✅ 결론: SNS 속 ‘눈 색 바꾸는 안약’은 대부분 사기 또는 위험한 비공인 제품입니다

정상적인 의학 경로로는 눈동자 색을 바꾸는 방법은 아직 렌즈를 제외하고는 안전한 방법이 없습니다.


마무리: 눈동자 색은 유전과 과학의 결과물

눈동자 색은 유전자와 멜라닌 색소의 복합적인 결과이며, 쉽게 바뀌지 않습니다. 일부 시술은 가능하지만 안전성과 비용, 돌이킬 수 없는 결과를 고려해야 합니다. 특히 SNS에서 유행하는 미확인 안약이나 제품은 절대 사용해서는 안 됩니다.

눈 색은 외모의 일부일 뿐이며, 그 자체로 건강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반응형